-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2025.08.08)
-
184006 김중애 [ji5321] 스크랩 2025-08-08
-
2025년 8월 8일
성 도미니코 사제 기념일
어떤 분이 하느님의 불의를 말하면서,
하늘을 향해 이렇게 외쳤습니다.
“왜 저의 기도를 안 들어 주세요?”
“왜 저렇게 나쁜 놈들은 벌하지 않으세요?”
“저는 이렇게 열심히 사는데,
왜 이런 시련을 주세요?”
이런 식으로 계속해서 이어지는
불평불만에 하느님께서 이렇게
응답하셨다고 합니다.
“그래, 네가 하느님 해라.”
하느님께서 알아서 살기 좋은 낙원을
만들어주시면 참 좋겠는데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공부도 해야 하고, 열심히
일을 해야 합니다. 그런데 나보다 더
노력도 하지 않는데도 떵떵거리며 사는
사람이 많습니다. 정말로 불합리하고
불공정한 것 같지 않습니까?
정의롭지 못하다는 우리의 생각은
우리의 시선과 하느님의 시선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더군다나 지금의
삶이 영원히 유지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하느님 나라에 대해서만, 그리고
하느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는 길에
대해서만 말씀하신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의 시선은 주님과 달리 바로
코 앞의 일에만 맞춰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시선을 따라야 할까요?
예수님께서는 당신을 따르는 삶에 대해
“누구든지 내 뒤를 따라오려면, 자신을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마태 16,24)라고 말씀하십니다.
자신을 버린다는 것은 자기중심적인
욕심과 이기심을 버려야 한다는 것이지요.
대신 제 십자가를 지라고 하십니다.
이 세상 안에서 얻게 되는 고통이나
시련을 말씀하시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 뜻을 따르면서 겪는 고통을
의미합니다. 그리스도인의 삶은 희생과
사랑, 자기 부정의 여정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야 주님을 따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목숨을 구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단지 생물학적 생명이 아니라,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서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음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사람의 아들이 아버지의 영광에 싸여
천사들과 함께 올 터인데, 그때에 각자에게
그 행실대로 갚을 것이다.”(마태 16,27)
이 말씀을 기억하면서 지금의 우리 행실을
바르게 해야 합니다. 주님을 따르면서
겪게 되는 아픔과 시련에 시선을 맞춰서
불평불만에만 머물러서는 안 됩니다.
주님께서 약속하신 하느님 나라를
바라보면서 주님의 시선에 눈을 맞추는
우리가 되어야 합니다. 이제는 ‘나를 따르라’
라는 주님의 부르심에 제대로 응답할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오늘의 명언♡
용서는 과거를 변화시킬 수 없다.
그러나 미래를 넓혀준다
(파울 뵈세)
사진설명: 성 도미니코 사제.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
- 8월 8일 금요일 / 카톡 신부
-
184009
강칠등
2025-08-08
-
반대 0신고 0
-
- 노후의 인복을 빛나게 하는 습관
-
184008
김중애
2025-08-08
-
반대 0신고 0
-
-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 베드로의 배반
-
184007
김중애
2025-08-08
-
반대 0신고 0
-
-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2025.08.08)
-
184006
김중애
2025-08-08
-
반대 0신고 0
-
- 매일미사/2025년 8월 8일 금요일[(백) 성 도미니코 사제 기념일]
-
184005
김중애
2025-08-08
-
반대 0신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