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OOD NEWS 게시판

검색
메뉴

검색

검색 닫기

검색

오늘의미사 (백) 2025년 9월 3일 (수)성 대 그레고리오 교황 학자 기념일나는 기쁜 소식을 다른 고을에도 전해야 한다. 사실 나는 그 일을 하도록 파견된 것이다.

가톨릭마당

sub_menu

채우며 비우며 가는 길.

184026 김중애 [ji5321] 스크랩 2025-08-09

 

채우며 비우며 가는 길.

인생의 종착역엔 일등실

이등실이 따로 없다.

60대는 직업의 평준화,

70대는 건강의 평준화,

80대는 생명의 평준화라 하지 안 했는가?

잘 나고 못 나고는 다 거기서 거기인 것을

삶의 끝이요 생의 종착이다.

품 안에서 벗어나고,

조직에서 벗어나고,

모든 구속에서 벗어나고,

미움도 짐도 벗어 버리고

원망의 괴로움은 끊어 버려

배낭을 가볍게 하여 불필요하고

과도한 탐욕이나 욕심을 버리자.

자유선언의 포즈, 마음을 비운

해탈의 포즈 평심서기(平心舒氣)의 포즈로

한번 남은 마지막 고개를 넘어가자.

인생의 배낭 속에 즐길 것

낙(樂) 하나는 꼭 들어 있어야 한다.

낙(樂)이 없는 인생은 사는 게 아니라

생물학적인 연명뿐이다.

등산의 쾌감을 흔히들

마운틴 올가즘 이라고 한다.

등산이든 무슨 취미든 최고의

낙(樂)이 올 가짐 아닌가?

낙(樂)이 없는 인생은 권태의 연속뿐이다.

똑같은 소금도 대상에 따라서

효과가 달라진다.

미역에 뿌리면 팔팔하게 살아나지만

배추에 뿌리면 시들시들 죽여 버린다.

똑같은 물도 소가 먹으면 우유를 생산하고

뱀이 먹으면 독을 생산한다.

인생도 마찬가지다.

즐겁게 사는 사람은 즐거울 낙(樂)이요,

불평하고 사는 사람은 괴로울

고(苦)로 바뀌어진다.

자기 배낭 속에는 무엇을 담았습니까?

오늘도 마음속에 기쁨과 희망이란

시간을 담아 보세요!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 106 0

추천  2 반대  0 신고  

TAG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로그인후 등록 가능합니다.

0 / 500

이미지첨부 등록

더보기
리스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