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OOD NEWS 게시판

검색
메뉴

검색

검색 닫기

검색

오늘의미사 (백) 2025년 9월 13일 (토)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주교 학자 기념일너희는 어찌하여 나를“주님, 주님!”하고 부르면서 내가 말하는 것은 실행하지 않느냐?

가톨릭마당

sub_menu

신앙 - 용서, 구원은 죄로부터 출발

184136 김종업로마노 [rlawhddjq] 스크랩 2025-08-14

 

20250814[연중 제19주간 목요일]

신앙 - 용서, 구원은 죄로부터 출발

 

복음 (마태18,21-19,1)

21 그때에 베드로가 예수님께 다가와, “주님, 제 형제가 저에게 죄를 지으면 몇 번이나 용서해 주어야 합니까 일곱 번까지 해야 합니까하고 물었다. 22 예수님께서 그에게 대답하셨다.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곱 번이 아니라 일흔일곱 번까지라도 용서해야 한다.

= 일흔 일곱 번 까지 용서는 희년의 정신으로 하는 용서임을 배웠었다.

 

(레위25,8-9) 8 ‘너희는 안식년을 일곱 번, 곧 일곱 해를 일곱 번 헤아려라. 그러면 안식년이 일곱 번 지나 마흔아홉 해가 된다. 9 그 일곱째 달 초열흘날 곧 속죄일에 *나팔 소리를 크게 울려라. 너희가 사는 온 땅에 나팔 소리를 울려라.

= 숫양이 죽어 남긴 뿔 나팔 소리다. 곧 나팔 소리는 죄인들에게 용서, 자유, 해방을 주시기 위해 그들의 속죄 제물로 죽으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그 복음 선포의 예표다.

 

(레위25,10) 10 너희는 이 오십 년째 해를 거룩한 해로 선언하고, 너희 땅에 사는 모든 주민에게 *해방을 선포하여라. 이 해는 너희의 희년이다. 너희는 저마다 제 소유지를 *되찾고, 저마다 자기 씨족에게 *돌아가야 한다.

= 그리스도를 통해 거저 얻는 회복이다.

 

(1요한4,9-10) 9 하느님의 사랑은 우리에게 이렇게 나타났습니다. 곧 하느님께서 당신의 외아드님을 세상에 보내시어 우리가 그분을 통하여 살게 해 주셨습니다. 10 그 사랑은 이렇습니다. 우리가 하느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라, 그분께서 우리를 사랑하시어 당신의 아드님을 우리 죄를 위한 속죄 제물로 보내 주신 것입니다.

 

(로마5,10) 10 우리가 하느님의 *원수였을 때에 그분 아드님의 죽음으로 그분과 화해하게 되었다면, 화해가 이루어진 지금 그 아드님의 생명으로 구원을 받게 되리라는 것은 더욱 분명합니다.

= 인간은 용서받아야 할 존재다.

 

23 *그러므로 하늘 나라는 자기 종들과 셈을 하려는 어떤 임금에게 비길 수 있다.

= 하늘 임금은 죄인, 원수들의 죄를 용서하시기 위해 그들 죄의 속죄 제물로 당신 아드님을 내주신 그 무조건적 용서, 자비, 사랑 이심을 봤다. 그러니 그분 앞에서 심판을 받을 때, 그 하늘 임금님의 용서, 자비, 사랑만을 의지해야 한다.

 

24 임금이 셈을 하기 시작하자 만 탈렌트를 빚진 사람 하나가 끌려왔다.

= 만 달란트- 당시 이스라엘이 로마에게 조공(租貢)으로 바쳤던 금액보다 더 큰 금액이란다. 사람이 도저히 갚을 수 없는 금액인 것이다.

 

25 그런데 그가 빚을 갚을 길이 없으므로, 주인은 그 종에게 자신과 아내와 자식과 그 밖에 가진 것을 *다 팔아서 갚으라고 명령하였다.

= 빚은 죄 값이다. 곧 우리의 죄값은 우리 스스로가 갑을 길이 없음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다 팔아- 자신이 갖은 모든 것이 아무 가치 없음을 인정하는 버림, 자기부인을 하라는 것이다.

 

26 그러자 그 종이 엎드려 절하며, ‘제발 참아 주십시오. 제가 다 갚겠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 자기부인이 안 되니 자신이 갚겠다고 하는 것이다. 자기부인이 되었다면 잘못 했습니다. 자비를 베풀어 주세요라고 했을 것이다. 그런데 자신이 다 갚겠단다. 어떻게 그 많은 빚()해결하겠다는 것인지....자신의 처지, 주제파악을 못하고 오만을 부리는 모습이다. 그 모습이 사랑, 자비이신 분의 눈에 애초로워 보였던 것이다.

 

그래서 27 그 종의 주인은 *가엾은 마음이 들어, 그를 놓아주고 부채도 탕감해 주었다.

= 무조건적 하느님의 은총(恩寵), 은혜, 용서, 회복이다.

 

28 *그런데 그 종이 나가서 자기에게 백 데나리온을 빚진 동료 하나를 만났다. 그러자 그를 붙들어 *멱살을 잡고 빚진 것을 갚아라.’ 하고 말하였다.

= 멱살을 잡고(프니고- 숨을 막다) 곧 죽이겠다는 것이다. 자신이 받은 용서, 죄의 더러움, 흉측함의 무게를 모르기 때문이다. 한없는 사랑, 자비로 자신의 추악한 죄가 없어졌음을 믿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신의 큰 잘못, 죄악보다 다른 이의 잘못을 더 크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의 아픔, 고통만 보고 다른 이의 아픔, 고통을 보지 않기 때문이다. 자신의 잘못은 어쩔 수 없는 사정이 있고 다른 이의 잘못에는 사정이 없다. 그래서 숨을 막는 것이다.

 

29 그의 동료는 엎드려서, ‘제발 참아 주게. 내가 갚겠네.’ 하고 청하였다. 30 그러나 그는 들어주려고 하지 않았다. 그리고 가서 그 동료가 빚진 것을 다 갚을 때까지 감옥에 가두었다. 31 동료들이 그렇게 벌어진 일을 보고 너무 안타까운 나머지, 주인에게 가서 그 일을 죄다 일렀다. 32 그러자 주인이 그 종을 불러들여 말하였다. ‘이 악한 종아, 네가 청하기에 나는 너에게 빚()을 다 탕감해 주었다. 33 내가 너에게 자비를 베푼 것처럼 너도 네 동료에게 자비를 베풀었어야 하지 않느냐’ 34 그러고 나서 화가 난 주인은 그를 고문 형리에게 넘겨 빚()진 것을 다 갚게 하였다. 35 너희가 저마다 자기 형제를 *마음으로부터 용서하지 않으면, 하늘의 내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그와 같이 하실 것이다.”

= 내가 예수님의 십자가로 용서 받았듯이 다른 이 또한 그 예수님의 십자가로 용서 받았다는 것이다. 하느님은 당신 아드님 예수를, 모든 죄인들을 용서하시기 위해 대속의 십자가를 지게 하셨음을 늘 기억해야 한다. 그렸을 때 마음으로부터 용서가 나오는 것이지 우리의 작심, 결심으로는 나올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런데 34화가 난 주인은 그를 고문 형리에게 넘겨 빚진 것을 다 갚게하였는데 자신의 능력으로 갚을 수 없는 그 많은 빚을 어떻게 다 갚을 수 있을까 - , 길은 회개다. 자신의 생각에서 돌아서서 주인, 임금과 다시 셈을 하면 된다.

주님! 저에게는 능력()이 없습니다. ()을 갚을 길(방법)이 없습니다.” 하는 그 자기 버림, 부인(否認)으로 자신의 모든 것을 대속 하시고 갚아주신, 주인께서 예비하신 그 십자가를 붙드는 것이다. “하느님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하고 청하는 것이다. 우리는 수시로 잘못을 하고, 실패하고 넘어진다. 그때마다 다시 일어나 십자가로 가는 것이다.

그때마다 주님의 십자가가 없었으면 어쩔 뻔 했나하며 대속의 십자가를 예비하신 하느님께 감사가 나오게 되고, 그 감사가 나를 바꾸는(변화) 힘이 된다. 그래서 우리의 죄, 실패가 있는곳에 하느님의 은총이 있다고 하는 것이다.(로마5,20-21)

 

(로마8,28) 28 하느님을 사랑하는 이들, 그분의 계획에 따라 부르심을 받은 이들에게는 *모든 것이 함께 작용하여 선을 이룬다는 것을 우리는 압니다.

= 모든 것- 희로애락, 선과 악을 통해 선(용서, 구원)을 이루시는 하느님이시다. 용서, 구원의 신앙은 죄로부터 출발하는 것이다.

 

19,1 예수님께서는 이 말씀들을 마치시고 갈릴래아를 떠나, 요르단 건너편 유다 지방으로 가셨다.

= 속죄 제물로 죽은 숫양의 소리, 곧 하느님의 사랑, 용서, 회복인 십자가의 복음을 선포하러 가셨을 것이다.

 

보호자 성령님! 당신의 가르침과 이끄심으로 우리 자신의 본질(-없음, 죄인)을 깨닫는 자기부인의 삶을 살게 하시어 창조주 하느님의 사랑, 자비만을 의탁하는 자녀로 돌아가게(회복)하소서 저희 모두를 의탁합니다.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아멘!!!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 92 0

추천  1 반대  0 신고  

TAG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로그인후 등록 가능합니다.

0 / 500

이미지첨부 등록

더보기
리스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