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영근 신부님_ “행복하십니다. ~말씀이 이루어지리라고 믿으신 분!”(루가 1,45)
-
184171 최원석 [wsjesus] 스크랩 2025-08-15
-
* 오늘의 말씀(8/15) : 성모 승천 대축일
* 제1독서 : 묵시 11, 19ㄱ; 12, 1-6ㄱㄷ. 10ㄱㄴㄷ
* 제2독서 : 1코린 : 15, 20-27ㄱ
* 복음 : 루카 1, 39-56
39 그 무렵에 마리아는 길을 떠나, 서둘러 유다 산악 지방에 있는 한 고을로 갔다. 40 그리고 즈카르야의 집에 들어가 엘리사벳에게 인사하였다. 41 엘리사벳이 마리아의 인사말을 들을 때 그의 태 안에서 아기가 뛰놀았다. 엘리사벳은 성령으로 가득 차 42 큰 소리로 외쳤다. “당신은 여인들 가운데에서 가장 복되시며 당신 태중의 아기도 복되십니다. 43 내 주님의 어머니께서 저에게 오시다니 어찌 된 일입니까? 44 보십시오, 당신의 인사말 소리가 제 귀에 들리자 저의 태 안에서 아기가 즐거워 뛰놀았습니다. 45 행복하십니다, 주님께서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리라고 믿으신 분!”
46 그러자 마리아가 말하였다.
“내 영혼이 주님을 찬송하고 47 내 마음이 나의 구원자 하느님 안에서 기뻐 뛰니 48 그분께서 당신 종의 비천함을 굽어보셨기 때문입니다. 이제부터 과연 모든 세대가 나를 행복하다 하리니 49 전능하신 분께서 나에게 큰일을 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분의 이름은 거룩하고 50 그분의 자비는 대대로 당신을 경외하는 이들에게 미칩니다. 51 그분께서는 당신 팔로 권능을 떨치시어 마음속 생각이 교만한 자들을 흩으셨습니다. 52 통치자들을 왕좌에서 끌어내리시고 비천한 이들을 들어 높이셨으며 53 굶주린 이들을 좋은 것으로 배불리시고 부유한 자들을 빈손으로 내치셨습니다. 54 당신의 자비를 기억하시어 당신 종 이스라엘을 거두어 주셨으니 55 우리 조상들에게 말씀하신 대로 그 자비가 아브라함과 그 후손에게 영원히 미칠 것입니다.” 56 마리아는 석 달가량 엘리사벳과 함께 지내다가 자기 집으로 돌아갔다.
* <오늘의 강론>
오늘은 “성모승천” 교리를 ‘예형론’(typologia)을 통해 이해해 보고자 합니다.
<신약성경>에 따르면, 예수님은 새로운 출애굽을 이끄는 새로운 모세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모세의 ‘출애굽’이 이집트 땅에서 시작해서 약속의 땅에서 끝나는 것이었다면, 예수님의 새로운 ‘출애굽’은 예루살렘에서 시작해서 하늘나라에서 끝납니다. 곧 지상의 ‘약속된 땅’은 궁극적인 목적지가 아니라 단지 ‘출발지’일 따름입니다.
사실, 예수님 당시 예루살렘 성전의 지성소에는 텅 비어 있었습니다. 곧 ‘하느님 영광의 구름’과 ‘계약 궤’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당시 유다인들은 잃어버린 ‘계약 궤’가 돌아오길 기다리고 하느님 현존을 나타내는 ‘영광의 구름’이 돌아올 때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사실, 시나이산에서 하느님께서는 하느님의 지상 거처로서 당신 백성들 가운데 머무실 장소로 ‘성막’을 짓고(탈출 25,8-9), 그 안에 ‘계약 궤’를 만들라고 합니다(탈출 25,8-22). 그리고 그 안에는 ‘두 개의 증언판’(탈출 31.18)과 ‘만나’가 담긴 항아리, 그리고 싹이 돋은 대사제 아론의 신비로운 ‘지팡이’가 모셔졌는데(탈출 16,34;민수 17,25), 그 위에 하늘에서 주님의 ‘영광인 구름’이 내려와 머물렀습니다(탈출 40,21.34-38).
그런데 에제키엘 예언자(10장)는 예루살렘 성전이 바빌론 제국에 파괴되기(기원전 587년) 전에 하느님 ‘영광의 구름’이 예루살렘에서 떠났다고 전합니다. 그리고 <2마카베오>(2,8)에서는 그것은 하느님께서 다시 ‘자비를 보이실 때까지 알려지지 않은 채’ 남아 있어야 하며, ‘주님 영광의 구름’이 나타난 것을 보면, 거기 ‘계약 궤’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리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신약성경>에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천사가 마리아에게 대답하였다. ‘성령께서 너에게 내려오시고 지극히 높으신 분의 힘이 너를 덮을 것이다.
그러므로 태어날 아기는 거룩하신 분, 하느님의 아드님이라고 불릴 것이다.’”(루카 1,35)
이렇게 해서, 성막 위에 내려온 ‘영광의 구름’과 ‘마리아에게 내려온 성령’이 연결됩니다. 곧 “주님 영광의 구름이 성막을 덮고 있었다(επισκιαξω).”(탈출 40,34-35)는 말과 “성령이 동정 마리아를 덮을 것이다(επισκιαξω).”(루카 1,35)라는 말이 연결됩니다. 이처럼, 루카복음사가는 주님 탄생 예고에서 마리아를 ‘새 계약 궤’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복음>에서 엘리사벳은 주님 현존이 머무는 곳인 ‘계약 궤’가 나타날 때처럼 환희에 차 ‘큰 소리’로 외칠 수밖에 없었습니다. 따라서 루카복음사가는 마리아를 하느님 현존의 새로운 지상 거처인 ‘새 계약 궤’로 묘사해 줍니다.
또한, 오늘 <제1독서>에서는 ‘태양을 입은 여인’에 대한 요한의 환시를 통해, ‘여인과 계약 궤’와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하늘에 있는 하늘의 성전이 열리고 성전 안에 있는 하느님의 계약 궤가 나타났습니다. ~ 태양을 입고 발밑에 달을 두고 머리에 열두 개의 별로 된 관을 쓴 여인이 나타난 것입니다.”(묵시 11,19-12,2)
이렇게 ‘계약 궤’와 ‘여인’은 하늘의 성전에서 나타납니다. 이는 ‘계약 궤’가 더 이상 지상에 있지 않고 천상에 있다는 사실을 말해줍니다. 바로 ‘성모승천’을 밝혀줍니다. 여기에서, ‘계약 궤’와 ‘여인’은 한 사람에 대한 이중상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 계약 궤’로서의 마리아의 정체성의 신비는 ‘예수님의 신성’에 관한 아주 깊은 신비를 밝혀줍니다.
이를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오 교부는 이렇게 말합니다.
“오 하느님 말씀의 거처이신 분, 오 새로운 계약의 궤여, 순금대신 순결을 입으신 분, 당신은 계약의 궤, 참된 만나를 담은 황금 그릇, 신성이 머무르는 육신이로다. ... 당신 안에 온전한 발, 머리, 완전한 하느님의 온몸을 지니고 계시니, 당신이야말로 하느님께서 쉬시는 거처로다.”
또한, 이를 [가톨릭교회교리서]에서는 이렇게 가르치고 있습니다.
“마리아 안에 주님께서 친히 와 계시니, 마리아께서는 ... 계약 궤이며,
주님의 영광이 머무는 곳이다.”([교리서] 2676항)
그래서 교종 비오 12세께서는 1950년 마리아의의 육신이 천상으로 들어 올림 받으심을 믿을 교리로 선포 할 때, 이렇게 말합니다.
“(이들은) 썩지 않는 나무로 지어져 주님의 성전에 안치된 계약 궤를 동정녀 마리아의 지극히 순결한 육신의 예형으로 여겼습니다. 마리아의 육신은 무덤의 부패로부터 더럽혀지지 않은 채 보존되었으며 천상의 지고한 영향으로 들어올림을 받으셨습니다.”(교종 비오 12세, [지극히 자애로우신 하느님] 26항)
이처럼, 마리아는 ‘새 계약의 궤’로서, 하느님의 은총으로 거룩하게 되시고, 육신의 부패로부터 보존되시고, 하늘로 들어 올림 받으셨습니다. 그리고 하늘로 들어 올림 받으신 마리아는 육신의 부활과 승천이 예수님께만 속한 것이 아니라, 우리 역시 부활하고 승천하리라는 희망을 보여줍니다. 아멘.
“행복하십니다. ~말씀이 이루어지리라고 믿으신 분!”(루가 1,45)
주님!
제가 진정 행복한 것은
저를 믿고 사랑하기를 결코 포기하지 않으시는 당신의 희망 때문입니다.
늘 저보다 먼저 사랑하고,
더 사랑하고, 더 믿고, 더 희망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렇습니다. 결코 사라질 수도, 빼앗겨 질 수도,
멈춤도 없는 당신의 희망이 바로 오늘 제가 진정 행복한 이유입니다. 아멘.
수도회 벽돌 한장 계좌입니다. 감사합니다.
계좌는 농협 355-0045-9581-23
예금주:양주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수도원 이예요.
축복.평화 가득하세요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
- 오늘의 묵상 [08.16.토] 한상우 신부님
-
184179
강칠등
2025-08-16
-
반대 0신고 0
-
- [음란 극복방법25] 현대 음란 문화에 맞서는 가르침 (교황 프란치스코)
-
184178
장병찬
2025-08-16
-
반대 0신고 0
-
- ╋ 073. 네 작은 고통을 내 수난과 일치시키면 그것은 무한한 가치를 띄게 될 것이다. [하느님 자비심, 파우스티나 성녀]
-
184177
장병찬
2025-08-16
-
반대 0신고 0
-
- ■ 어린이마냥 순진한 이만이 저 하늘 나라에 / 연중 제19주간 토요일
-
184175
박윤식
2025-08-15
-
반대 0신고 0
-
- ◆요셉 신부님의 매일 복음 묵상 - 왜 똑같이 노력하는데, 누구는 추락하고 누구는 승천할까?
-
184174
김백봉
2025-08-15
-
반대 0신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