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OOD NEWS 게시판

검색
메뉴

검색

검색 닫기

검색

오늘의미사 (녹) 2025년 9월 1일 (월)연중 제22주간 월요일(피조물 보호를 위한 기도의 날)주님께서 나를 보내시어 가난한 이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게 하셨다. 어떠한 예언자도 자기 고향에서는 환영을 받지 못한다.

가톨릭마당

sub_menu

송영진 신부님_<모든 신앙인은 한 사람 한 사람이 겨자씨이고 누룩입니다.>

183761 최원석 [wsjesus] 스크랩 2025-07-28

“예수님께서 또 다른 비유를 들어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하늘나라는 겨자씨와 같다. 어떤 사람이 그것을

가져다가 자기 밭에 뿌렸다. 겨자씨는 어떤 씨앗보다도

작지만, 자라면 어떤 풀보다도 커져 나무가 되고 하늘의

새들이 와서 그 가지에 깃들인다.’ 예수님께서 또 다른

비유를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하늘나라는 누룩과 같다.

어떤 여자가 그것을 가져다가 밀가루 서 말 속에

집어넣었더니, 마침내 온통 부풀어 올랐다.’ 예수님께서는

군중에게 이 모든 것을 비유로 말씀하시고, 비유를 들지

않고는 그들에게 아무것도 말씀하지 않으셨다. 예언자를

통하여 ‘나는 입을 열어 비유로 말하리라. 세상 창조

때부터 숨겨진 것을 드러내리라.’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려고

그리된 것이다(마태 13,31-35).”

1) ‘겨자씨의 비유’와 ‘누룩의 비유’는,

“하느님께서 하시는 일은 인간의 생각을 초월한다.” 라는

가르침이기도 하고, 당신이 하시는 일의 놀라운 결과를

미리 예고하신 말씀이기도 합니다.

인간들은 어떤 일의 시작 단계만 보면서 그 일의 결과가

보잘것없을 것이라고 함부로 판단하지만, 하느님께서는

작은 일에서도 놀라운 결과를 만들어내시는 분입니다.

이 두 비유는, 하느님께서 항상 작은 일로 시작하신다는

뜻은 아니고, ‘결과’에 초점을 맞춰서 생각해야 합니다.

어떤 일의 결과를 보기도 전에 미리 실망하면서

포기하는 것은, 하느님에 대한 믿음이 부족한 것입니다.

또 예수님께서 하신 일은, 인간적인 눈으로만 보면,

처음에는 작고 초라하고 보잘것없는 모습으로 시작한 것이

사실인데, 그 일의 결과는 위대하고 엄청난 것입니다.

2) 예수님 자신이 겨자씨이고, 누룩입니다.

‘겨자씨의 비유’는 요한복음에 있는 다음 말씀에 연결됩니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지 않으면 한 알 그대로 남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는다(요한 12,24).”

겨자씨라고 하든지 밀알이라고 하든지 간에, 예수님께서는

당신 자신이 하나의 씨가 되셨고, 그 씨에서 수많은 사람의

구원이라는 열매를 맺으셨습니다.

3) 초대교회 공동체도 처음에는

작고 보잘것없었다는 점에서 겨자씨였습니다.

최고의회가 사도들을 박해할 때,

가말리엘이라는 사람이 이런 말을 했습니다.

“이제 내가 여러분에게 말합니다.

저 사람들 일에 관여하지 말고 그냥 내버려

두십시오. 저들의 그 계획이나 활동이 사람에게서

나왔으면 없어질 것입니다. 그러나 하느님에게서 나왔으면

여러분이 저들을 없애지 못할 것입니다.

자칫하면 여러분이 하느님을 대적하는 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사도 5,38-39).”

만일에 사도들과 초대교회가 하느님에게서 나온 것이

아니라 사람에게서 나온 것이라면, 즉 메시아께서

직접 세우신 교회가 아니라 자기들 마음대로 모인

집단이었다면, 저절로 망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사도들과 초대교회는 ‘주님의 겨자씨’였습니다.

바로 그 씨 속에 인류 전체를 구원하는

하느님의 생명력이 들어 있었습니다.

<지금도 그 생명력은 변함없이 교회 안에 살아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베드로 사도를 교회의 반석으로 삼으실 때,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울 터인즉,

저승의 세력도 그것을 이기지 못할 것이다.” 라고

약속하셨습니다(마태 16,18).

‘주님의 겨자씨’가 인류 전체를 구원하는 ‘큰 나무’로

자라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세력이나 힘 같은 것은 없습니다.

4) 사도들과 초대교회 공동체는 훌륭한 누룩이었습니다.

“그들은 사도들의 가르침을 받고 친교를 이루며

빵을 떼어 나누고 기도하는 일에 전념하였다.

그리고 사도들을 통하여 많은 이적과 표징이 일어나므로

사람들은 저마다 두려움에 사로잡혔다(사도 2,42-43).”

“그들은 날마다 한마음으로 성전에 열심히 모이고

이 집 저 집에서 빵을 떼어 나누었으며,

즐겁고 순박한 마음으로 음식을 함께 먹고,

하느님을 찬미하며 온 백성에게서 호감을 얻었다.

주님께서는 날마다 그들의 모임에 구원받을 이들을

보태어 주셨다(사도 2,46-47).”

“그들은 모두 한마음으로 솔로몬 주랑에 모이곤 하였다.

다른 사람들은 아무도 감히 그들 가운데에 끼어들지

못하였다. 백성은 그들을 존경하여, 주님을 믿는 남녀

신자들의 무리가 더욱더 늘어났다(사도 5,12ㄴ-14).”

지금도 사람들을 변화시키면서 ‘주님의 누룩’으로서 훌륭하고

거룩하게 살아가는 지역 교회 공동체들이 많이 있습니다.

5) 모든 신앙인은, 한 사람 한 사람이 ‘주님의 겨자씨’이고

‘주님의 누룩’입니다.

내가 바치는 한 번의 기도가, 내가 실천하는

작은 선행과 사랑이, 세상을 바꾸고, 사람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겨자씨가 되고 누룩이 됩니다.

<물론 일차적으로는 자기 자신을 구원하게 됩니다.>

믿음 없는 사람들의 눈에는 아무것도 아닌 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주님의 기준으로는 신앙인의 작은 기도와 선행은

결코 작은 일이 아니라, 전부 다 위대한 일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교만에 빠지면 안 되고,

“해야 할 일을 하였을 뿐입니다.” 라고

겸손하게 스스로 낮춰야 합니다(루카 17,10).

그래도 주님께서는 우리가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면서

크게 기뻐하시고 칭찬하실 것입니다.

송영진 모세 신부

-------------------------------------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3 273 0

추천  3 반대  0 신고  

TAG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로그인후 등록 가능합니다.

0 / 500

이미지첨부 등록

더보기
리스트
TOP